<aside> 🎨
중요한 정보를 강조하거나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요소이자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스타일을 강조하는 요소 중 하나.
<aside>
1️⃣ 중요한 정보 강조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**주요 요소**와 **보조 요소**를 구분!
계층 구조
요소의 중요도에 따라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음. 타이포 그래피와 함께 표현하면 더 효과적으로 표현 가능.
강조
채도, 명도를 적용하여 특정 정보를 강조할 수 있음.
강조 영역은 화면에서 최소화하여 사용 → 많은 영역을 강조할 경우 시각적으로 복잡해 보이고 사용성을 저하
</aside>
<aside>
2️⃣ 사용자의 행동 유도
버튼이나 링크에 컬러 적용
강조할 주요 요소 브랜드 컬러
→ 행동 유도, 보조 요소 채도가 낮은 컬러
→ 중요도⬇️
의미 전달
예) 녹색은 시작, 빨간색은 종료·도착
지하철 노선 : 노선마다 갖는 상징적인 색상을 모든 어플에서 동일하게 사용
</aside>
<aside>
3️⃣ 상태(State) 즉각적인 피드백 전달
텍스트 필드 입력
텍스트 필드 외곽선, 검색어 입력 커서에 색상 적용
버튼의 활성화와 비활성화
비활성화 영역 → 그레이스케일, 활성화 영역 → 컬러 적용
토글 & 탭
온/오프, 클릭에 따른 즉각적인 상태를 보여줌
브랜드 아이덴티티
브랜드 이미지를 떠오르게 하는 강력한 시각적 전달 요소
브랜드의 이미지, 가치관, 성향을 담을 수 있는 대표 컬러로 선정
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만듦
</aside>
</aside>
<aside>
<aside> 💡
5% 주색(강조 영역), 25% 보조색, 70% 배경색으로 사용
주색, 보조색, 배경색이 화면 디자인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기도 함!
스타벅스의 예시
</aside>
<aside>
Primary color 주색
UI에서 가장 강조해야 하는 영역,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때 사용
브랜드를 대표하는 컬러로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각인시키는 데 도움을 줌
브랜드 아이덴티티
: 로고 · 앱 아이콘 · 스플래시
강조와 사용자 행동 유도
: CTA 버튼 · 로그인/회원가입 유도 · 중요한 정보 전달
Secondary color 보조색
주색을 보완해 주며 조화를 이루는 역할을 함
보색
: 생동감 있고 활동적인 느낌
유사색
: 조화롭고 안정적인 느낌
Neutral color 배경색
중립의 컬러로 UI 디자인에서 지원 역할, 주로 텍스트와 배경에 사용
흰색에서 검은색까지 회색의 음영을 포함
UI 디자인에서 가장 많은 영역에 사용 70%
Semantic color 시스템 컬러
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호작용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
UNESCO 도로 표지판 기준으로 표준화 된 컬러 사용
</aside>
💡 컬러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주변 색상/형태 등에 영향을 받는다!
<aside>
배경과 컬러
다크/라이트 모드에 따라 배경색이 반전되기 때문에 각 모드에 맞는 컬러를 사용해야 함
형태와 컬러
면적이 넓은 배경과 면적이 좁은 텍스트 등 형태에 따라 컬러는 영향을 받음
**배경**에 사용
→ 면적이 넓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음
**텍스트**에 사용
→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아 가독성이 낮음
📌 형태에 따라 색상 코드값을 알맞게 적용하여 가독성을 높여야 함!
</aside>
<aside>
📌 과도한 컬러 사용 피하기
</aside>
<aside>
<aside>
OS별 시스템 폰트
IOS, Android 시스템 폰트
✔️ IOS와 Android 기기를 각각 작업하는 것이 아닌 한 벌로 작업하기 때문에 어떤 시스템 폰트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함 → 글로벌 서비스 같은 경우는 해당 폰트를 지원하고 있는지 체크가 필요하고,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협의하여 결정 필요
웹 폰트
<aside>
</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
<aside>
</aside>